티스토리 뷰
단방은 한 가지 약재로 환을 만들거나 가루를 내거나 달여서 먹는 것이다. 환으로 먹거나 가루내어 먹을 때는 2돈씩 먹고, 달여서 먹을 때는 5돈씩 먹는다.
황정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이 젊어지며, 늙지 않고 배고프지 않게 된다. 뿌리ㆍ줄기ㆍ꽃ㆍ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다. 뿌리를 캐어 먼저 끓인 물에 쓴 즙을 씻어내고 구증구포하여 먹거나, 그늘에 말린 뒤 찧어서 가루내고 매일 깨끗한 물에 타서 먹는다. 매실과 함께 먹는 것을 피한다. 《본초》
창포(석창포의 뿌리)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한다. 뿌리를 쌀뜨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볕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 낸다. 찹쌀 죽에 졸인 꿀을 넣고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술이나 미음과 함께 임의로 먹는 데, 아침에는 30알, 저녁에는 20알씩 먹는다. 《본초》
창포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석창포 뿌리 즙 5말에 찹쌀 5말을 넣고 삶은 후 고운 누룩 5근과 고루 섞는다. 술 빚는 일반적인 방법대로 숙성시켜 가라앉힌다. 그 윗물을 오래 복용하면 신명(神明)을 통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입문》
감국화의 꽃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한다. 싹ㆍ잎ㆍ뿌리ㆍ꽃을 모두 먹는다. 그늘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내어 술과 함께 먹거나 꿀로 환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는다. 《본초》
국화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감국화ㆍ생지황ㆍ지골피 각 5되에 물 1섬을 넣고 5말이 될 정도까지 달인 후 이 물에 찹쌀 5말을 넣고 다시 삶는다. 익으면 고운 누룩을 넣고 함께 섞은 후 항아리에 담는다. 술이 익으면 가라앉힌 후 그 윗물을 데워 먹는다. 근골을 강하게 하고 골수를 보하며 수명을 늘린다. 흰 국화가 더욱 좋다. 《입문》
백초화(온갖 종류의 풀꽃)
온갖 병에 주로 쓰고 오래 살아서 신선이 되게 한다. 온갖 종류의 풀꽃을 음지에서 말린 후 찧어서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는다. 꽃을 달인 물로 술을 빚어 먹기도 한다. 《본초》
송진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수명이 늘어난다. 송진을 정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송진 7근을 뽕나무 잿물 1섬과 함께 3번 끓어 오르게 끓인 후 찬물에 넣어 굳어지게 한 다음 다시 끓인다. 이 과정을 10번 반복하면 흰색이 된다. 이렇게 정제한 송진을 빻아 체로 쳐서 순주(醇酒)ㆍ꿀과 섞어서 엿처럼 만들어 하루에 1냥씩 먹는다. 《득효방》
솔잎을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잎을 따서 얇게 썬 후 다시 갈아 술에 3돈씩 먹는다. 미음과 함께 먹어도 좋다. 검게 볶은 콩을 함께 찧어서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속방》
구기자나무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더위와 추위를 타지 않고 장수한다. 구기는 줄기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은 뿌리 껍질을 써야 하며, 구기자는 붉은 열매를 써야 한다. 구기의 잎도 약효가 비슷하므로 뿌리ㆍ줄기ㆍ잎ㆍ열매를 모두 복용할 수 있다. 어린 잎은 국을 끓이거나 나물을 무쳐서 평상시에 먹어도 된다. 껍질과 열매는 가루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늘 복용해도 되고 술에 담가 먹어도 된다.
금수전(金髓煎)은 붉게 익은 구기자를 2달 동안 술에 담갔다가 구기자를 걸러내어 짓찧어 베에 다시 거른 후 찌꺼기는 버리고 걸러진 즙은 앞에서 담갔던 약주와 함께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서 만든 고약이다. 매일 따뜻한 술에 큰 숟가락으로 2술씩, 하루에 2번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신선이 될 수 있다. 《본초》
만청자(순무의씨)
오래 복용하면 곡식을 끊고 오래 살 수 있다. 구증구포한 후 빻아서 가루내어 하루에 2번, 2돈씩 물과 함께 먹는다. 《본초》
백죽(흰죽)
새벽에 일어나 죽을 먹으면 가슴이 뚫리고 위(胃)를 보양한다. 진액이 생겨나고 하루종일 기분이 상쾌하여 보하는 힘이 작지 않다. 만생종(晩生種) 멥쌀을 진하게 푹 쑤어 먹는다. 《입문》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5) - 노인봉양 (0) | 2019.09.22 |
---|---|
동의보감 (4) - 신묘한 베개를 만드는 법 (0) | 2019.09.22 |
동의보감 (2) - 본성을 길러 오래 살게 하는 약 (0) | 2019.09.22 |
동의보감 (1) - 사대와 음양오행, 정기신 (0) | 2019.09.22 |
손의 혈자리와 기맥 (0) | 2019.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