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극권은 중국 송나라 때 무당산 도가(道家) 선인인 장삼봉 진인(眞人)이 주역의 음양오행설과 한의학의 경락이론, 도가의 양생이론을 바탕으로 창시한 내가권법(內家拳法)이다. 태극권은 정(精)·기(氣)·신(神)의 내면적인 수련을 중시하고, 기공(氣功) 및 양생도인법, 호신술을 절묘하게 조화해 집대성한 것으로서, 부드러움으로 강한 것을 이기고 고요함으로 움직임을 제압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유연하고 완만한 동작 속에 기(氣)를 단전에 모아 온몸에 원활하게 유통시키고 오장육부를 강화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태극권은 태극음양의 이치를 몸으로 담아내는, 마치 허공에 몸으로 쓰는 붓글씨와 같다. 태극이란 강유겸전(剛柔兼全) 으로 외형은 유(柔)로 보여도 내실은 강(剛)이다. 즉, 외유내강이다. 겉으로는 유연..
경공은 단순히 몸을 가볍게 하는 정도가 아니라 소설 등에서는 초월적으로 묘사된다. 경공의 화호는 고수를 나타내는 증거 중 하나이기도 하다. 경공의 고수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는 높이를 도약하거나, 심하다면 물 위에 뜨거나 공중을 비행하는 것마저 가능할 정도. 경공은 신법이나 보법과는 다르게 장거리 이동을 위해 비행에 가깝게 운신하는 공부라 무협에서는 내공의 소모가 적고 먼거리를 빠르게 이동할수록 고급경공으로 꼽힌다. 다만, 보법·신법·경공이 서로 다른 개념이라고 해도 상호보완적인 면이 있기에,[1] 이들을 묶어 보신경(步身輕)이라고도 일컫는다. 명칭 설명 능공허도 (凌空虛道) 하늘을 유유자적 누빈다는 전설적인 수준의 경신법. 쉽게 말해 비행술로, 육지비행(陸地飛行)이라고도 부른다. 혼동하기 쉬운..

태극권은 소림권과 함께 중국의 양대 권법을 이루고 있다.ㅣ 중국에서 가장 많은 수련 인구를 부유한 유파로 유명하며 청나라 이후 오랜 세월을 거치며 대개 5개의 문파로 발전해 전해지고 있다. 소림권처럼 근육과 힘에 의존하는 외가권에 비해 태극권은 내가권이며 내가권은 흔히 내공을 중시한다. 내가권에는 형의권, 팔괘장, 태극권이 있으며 이를 내가3권이라고 한다. 태극권은 초기에 진씨 일족들에게만 비밀리에 전수가 되어왔기에 외부인들은 배울 수가 없었다. 그러던 차에 태극권의 명성을 듣고 이를 흠모하던 양로선이란 청년이 진가구로 들어가 하인 노릇을 하며 밤마다 몰래 진씨 일족들이 태극권 수련을 하는 것을 훔쳐보게 되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진씨 14대조로 태극권을 지도하고 있던 진장흥에게 발각되고 말았다. 진장..

전통춤과 현대무용, 혹은 동양과 서양의 춤이라는 관점으로 한 번 찾아보게 되었다. 내가 관심이 있는 것은 단순히 아름다운 춤이나 우리 몸의 곡선을 이용한 형태 등등이 궁금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수행을 함에 있어서 결국 모든 것은 몸과 마음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우리는 몸을 가지고 활동을 하며 음식만 가지고도 부족하고, 우리가 몸을 움직이며 그 움직임이 자연의 기운의 흐름과 일치해 있어야 한다. 사실 위에 열거한 영상들은 전통과 현대로 딱 구분짓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는 것이, 현대에 오면서 많은 무용동작들이 현대적인 것이 가미되고 누락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전통적인 것,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던 것들에 마음이 많이 끌리지만, 그렇다고 현대의 것들을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전통이라는 것은 말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