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옥고ㆍ삼정환ㆍ연년익수불로단ㆍ오로환동단ㆍ연령고본단ㆍ반룡환ㆍ이황원ㆍ현토고본환ㆍ고본주는 모두 수명을 연장하는 약이다.

 

경옥고

 

정을 채우고 수(髓)를 보하며 진기(眞氣)를 고르게 하고 성(性)을 기르고, 노인을 아이로 돌아오게 하고 모든 허손을 보하고 온갖 병을 없앤다. 온갖 신(神)이 모두 충족되고 오장의 기가 차고 넘쳐 백발이 검게 되고 빠진 치아가 다시 나며 걸음걸이가 달리는 말처럼 빠르게 된다. 하루에 몇 차례 먹으면 하루종일 배고프거나 갈증나지 않으니 그 효과를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이 약을 5제로 나누면 반신불수가 있는 5명을 구할 수 있고, 10제로 나누면 노채가 있는 10명을 구할 수 있다. 만약 27년 동안 먹으면 360살까지 살 수 있고, 64년 동안 먹으면 500살까지 살 수 있다. 생지황 16근(찧어서 즙을 짜낸 것), 인삼(곱게 가루 낸 것) 24냥, 백복령(곱게 가루 낸 것) 48냥, 꿀(졸여 찌꺼기는 없앤 것) 10근. 이 약들을 고르게 반죽하여 사기 항아리 안에 넣고 기름종이 5겹과 두터운 베 1겹으로 항아리의 입구를 밀봉한다. 이것을 구리로 만든 솥에 넣고 물 속에 매달아 항아리의 입구가 물 밖으로 나오게 한다. 뽕나무 장작으로 3일 밤낮을 달이되, 솥 안의 물이 줄어들면 따뜻한 물을 보충한다. 3일이 되면 꺼내어 다시 납지로 항아리 입구를 밀봉하고, 우물 안에 하루 밤낮을 담근다. 그리고 꺼내어 다시 첫 번째 솥에 넣고 하루 밤낮을 달여서 수기(水氣)를 뺀 후 꺼내어 쓴다. 먼저 약간을 꺼내어 천지신에게 제사지낸 후에 1-2숟가락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 술을 먹지 못하는 사람은 끓인 물에 타서 하루에 2-3번 먹는다. 여름철 더울 때는 시원한 곳에 두거나 얼음 속에 저장하거나 땅속에 묻는다. 반드시 닭이나 개소리가 들리지 않는 고요한 곳에 두고, 부인이나 상복을 입은 사람이 보지 못하도록 한다. 이것을 만들 때 처음부터 끝까지 철로 된 그릇은 사용하지 않는다. 복용할 때는 파ㆍ마늘ㆍ무와 식초 같은 신 것 등은 피한다. 《입문》

 

《위생방》에서는 생지황 8근, 인삼 32냥, 백복령 24냥, 꿀 5근을 썼다.

 

명대(明代) 영락(永樂) 연간에 태의원(太醫院) 회의에서는 천문동ㆍ맥문동ㆍ지골피 각 8냥을 더하였다. 임금께 진상하니 익수영진고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삼정환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며 얼굴이 아이처럼 된다. 창출천(天)의 정(精)이다, 지골피지(地)의 정이다를 각각 깨끗하게 가루 낸 것 1근씩. 검게 익은 오디인(人)의 정이다 20근을 잘 반죽하여 비단주머니 안에 넣고 즙을 짜서 찌꺼기는 버린다. 여기에 2가지 약 가루를 즙에 넣어서 고르게 섞는다. 이것을 항아리 속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여 선반 위에 놓아 낮에는 해의 정기를 모으고 밤에는 달의 정기를 모은다. 저절로 졸여져 마르면 꺼내어 가루내고 꿀로 반죽하여 팥알만 하게 환을 만든다. 10알씩 술이나 끓인 물로 임의로 복용한다. 《입문》

 

 

연년익수불로단

 

하수오(적하수오 4냥ㆍ백하수오 4냥을 합한 것 8냥을 쌀뜨물에 담근다. 물러지면 대나무칼로 껍질을 벗기고 잘라서 절편을 만든 후 검정콩을 달인 물에 푹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다. 다시 감초즙에 섞어 볕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를 내되, 쪄서는 안 된다), 지골피(술로 씻은 후 볕에 말린 것)ㆍ백복령(술로 씻어 볕에 말린 것) 각 5냥, 생건지황(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볕에 말린 것)ㆍ숙지황(술로 씻어서 볕에 말린 것)ㆍ천문동(술에 6시간 담갔다가 심은 제거하고 볕에 말린 것)ㆍ맥문동(술에 6시간 담갔다가 심은 제거하고 볕에 말린 것)ㆍ인삼(노두를 없앤 것) 각 3냥. 이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따뜻한 술로 30-50알씩 먹는다. 이 약은 보하는 효과가 무궁무진하여, 열흘이나 한 달을 먹으면 스스로 동년배와 달라진 것을 느끼게 된다. 늘 먹으면 효과를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는데, 실제로 여조(呂祖)가 처음에 먹었다고 한다. 《필용방》

 

 

 

하령만수단

 

시(詩)에, "하령만수단을 먹으면 혼백이 편안해진다. 닭이 알을 품듯이 약을 기르는데 정한 기간을 완전히 채워야 한다. 조용한 방에서 만들되, 다른 사람이 봐서는 절대 안 된다. 갑자일(甲子日)과 경신일(庚辛日) 밤 하늘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환을 만든다. 1제만 먹어도 60살을 더 살고 2제를 먹으면 120살을 더 산다. 약을 먹으니 뼈가 다르게 변하고 천지와 더불어 장수한다. 신비롭고도 신비로우며 현묘하고도 현묘하다"고 하였다. 복신ㆍ적석지ㆍ천초(약간 볶아 진이 나오게 한 것) 각 1냥, 주사(곱게 갈아 수비한 것)ㆍ유향(등심과 함께 간 것) 각 1냥. 이 약들을 따로 가루 낸다. 흰자와 노른자를 없앤 계란 껍질 2개에 주사와 유향을 각각 따로 넣고 종이로 7겹을 바른 다음 푸른 비단주머니에 담는다. 건장한 부인이 이것을 배에 품어 늘 따뜻하게 하되, 주사는 35일을 품고 유향은 49일을 품은 후에 꺼낸다. 이것을 갈고 앞의 3가지 약도 곱게 가루 낸 후 고르게 섞는다. 이것을 찐 대추살로 반죽하여 녹두대로 환을 만든다. 매일 30알씩 따뜻한 술로 빈속에 먹거나, 인삼 달인 물로 먹는다. 한 달 후에는 40알까지 양을 늘린다. 갑자일과 경신일 밤에 깊고 고요한 곳에서 만들되, 부인이나 닭이나 개가 보지 못하게 한다. 《단계심법》

 

 

연령고본단

 

온갖 허손과 중년에 발기되지 않거나 50세가 되지 않아 수염과 머리카락이 희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복용하고 보름이 지나면 성생활을 잘 하게 되고, 1달이 지나면 얼굴이 아이처럼 되고 10리를 볼 수 있다. 3달이 지나면 백발이 검게 되고, 오래 먹으면 신기(神氣)가 쇠하지 않고 몸이 가볍고 튼튼해져 신선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 토사자(술로 법제한 것)ㆍ육종용(술로 씻은 것) 각 4냥, 천문동ㆍ맥문동ㆍ생지황과 숙지황(모두 술로 법제한 것), 산약ㆍ우슬(술로 씻은 것)ㆍ두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ㆍ파극(술에 담갔다 심을 뺀 것)ㆍ구기자ㆍ산수유(술에 쪄서 씨를 뺀 것)ㆍ백복령ㆍ오미자ㆍ인삼ㆍ목향ㆍ백자인 각 2냥, 복분자ㆍ차전자ㆍ지골피 각 1.5냥, 석창포ㆍ천초ㆍ원지ㆍ감초(물에 담갔다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ㆍ택사 각 1냥. 이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술을 넣고 달여 멀겋게 쑨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따뜻한 술로 80알씩 빈속에 먹는다. 부인에게는 당귀ㆍ적석지 각 1냥을 더한다. 무ㆍ파ㆍ마늘ㆍ쇠고기ㆍ식초ㆍ신음식ㆍ엿ㆍ양고기 등은 먹지 말아야 한다. 《회춘》

 

반룡환

 

늘 먹으면 수명이 길어진다. 녹각교ㆍ녹각상ㆍ토사자ㆍ백자인ㆍ숙지황 각 8냥, 백복령ㆍ파고지 각 4냥. 이 약들을 곱게 가루 낸다. 술을 넣고 달여서 쑨 쌀풀로 반죽하여 환을 만들거나, 녹각교를 좋은 술에 넣고 녹인 것으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생강과 소금을 넣고 끓인 물로 50알씩 먹는다. 옛날에 촉(蜀) 땅에 살던 어떤 노인이 이 약을 시장에서 팔며 스스로 말하기를, "내 나이가 380살이다"라고 하였다. 매번 노래하기를, "미려(尾閭)를 막지 않으면 창해도 마르니 구전금단(九轉金丹)도 모두 부질없는 소리이다. 오직 반룡(斑龍)의 머리꼭대기에 있는 구슬만이 옥당관(玉堂關) 아래의 정혈을 보한다"고 하였다. 그 도를 배운 사람이 이 처방을 전해 들었고, 그 노인은 백학으로 변하여 날아가 버려 종적을 알 수 없었다. 《정전》

 

 

인삼고본환

 

일명 이황원이라고 한다. 사람의 심(心)은 혈을 저장하고 신(腎)은 정을 저장한다. 정혈이 충실하면 수염과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고 얼굴이 쇠하지 않으며 오래 산다. 자양하여 보하는 약으로는 생지황과 숙지황보다 나은 것이 없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단지 생지황과 숙지황을 먹을 줄만 알고 맥문동과 천문동이 이것들을 끌고 간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 생지황은 심혈을 만들되 맥문동이 심혈을 만드는 곳으로 이끌고, 숙지황은 신정(腎精)을 보하되 천문동이 신정을 보하는 곳으로 이끈다. 4가지 약이 서로 작용하는데, 인삼은 주로 심기(心氣)를 통하게 한다. 천문동(심을 제거하고 생강즙에 2일 동안 담갔다가 술에 2일 동안 담근 것)ㆍ맥문동(심을 제거하고 술에 2일 동안 담갔다가 쌀뜨물에 3일 동안 담근 것)ㆍ생지황과 숙지황(함께 술에 담근 것) 각 2냥. 이 약들을 맷돌로 질게 갈거나 짓찧은 후 행인을 달인 물에 녹이고 찌꺼기는 거른다. 이것을 또 깨끗하게 간 후 전분을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위에 있는 물은 버리고 약 가루는 취하여 볕에 말린다. 여기에 인삼 가루 1냥을 넣고 졸인 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50-70알씩 따뜻한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임의로 먹는다. 무ㆍ파ㆍ마늘은 피한다. 《필용방》

 

 

고본주

 

허로를 보하여 오래 살게 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얼굴을 아름답게 한다. 생건지황ㆍ숙지황ㆍ천문동과 맥문동(함께 심을 제거한 것)ㆍ백복령 각 2냥, 인삼 1냥. 이 약들을 썰어 사기 항아리에 좋은 술 10병을 넣고 3일 동안 약을 담근다. 그리고 중간 불로 2-4시간 술이 검게 될 정도로 달이고 빈속에 3-5잔 마신다. 《위생편》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4) - 신묘한 베개를 만드는 법  (0) 2019.09.22
동의보감 (3) - 단방  (0) 2019.09.22
동의보감 (1) - 사대와 음양오행, 정기신  (0) 2019.09.22
손의 혈자리와 기맥  (0) 2019.09.22
양자의학  (0) 2019.09.2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